본문 바로가기

안전소식

(고용노동부)2022년 적용 최저임금안 고시 최저임금법 제9조제1항 및 같은 법 시행령 제8조에 따라 2022년 적용 최저임금안을 붙임과 같이 고시합니다. - '22년 적용 최저임금액, 결정단위, 사업의 종류별 구분 여부, 적용 기간, 이의 제기 할 수 있는 노사단체 대표자 범위 및 방법 등 http://www.moel.go.kr/info/lawinfo/instruction/view.do;jsessionid=SG1C6pEc0uTZkfuw1wQaI17ZNBxno1WtdbYKfndfQigJWfsfJuR0oXzSWCYFMJjL.moel_was_outside_servlet_www2?bbs_seq=20210702102 정보공개 > 법령정보 > 훈령·예규·고시 2022년 적용 최저임금안 고시 본문 정보공개 사전정보 공표목록 행정정보공개 정책실명제 청렴정책공개.. 더보기
(고용노동부)“추락.끼임 미리 준비하면 막을 수 있습니다” - 추락, 끼임 위험사업장 전국 일제 점검.캠페인(7월~) 실시- 고용노동부(안경덕 장관)는 7월 셋째 주부터 격주로 ‘현장점검의 날’을 지정하여 산업안전보건감독관, 안전보건공단 점검인력 등이 추락, 끼임사고 예방을 위한 전국 일제 점검을 한다. 이는 핵심적인 산재위험요인을 집중적으로 점검하여 사업장의 경각심을 고취시키고 자율적인 안전조치를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기간에는 산업안전에 대한 사회 전반의 관심과 산재예방 노력을 이끌어 내기 위한 전국 캠페인도 실시 예정이다. 전국 일제 점검은 산재사망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건설업 현장, 제조업 사업장에 대해 실시하는 것으로, 그간 기술지도, 패트롤 점검, 산업안전보건감독을 규모·특성별 맞춤형으로 실시하던 것의 연장선상에서 점검 시기와 대상의 선택과 집중을 .. 더보기
(안전보건공단)산업재해 발생 시 산업재해조사표를 작성·제출하여야 합니다 ㅇ '14. 7. 1.부터 산업재해 발생 보고기준 및 방법 등 산재발생 보고 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아직도 소규모 사업장 등에서는 보고제도를 잘 알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붙임과 같이 안내·홍보하고자 합니다. ㅇ 사업주는 사망 또는 3일 이상의 휴업이 필요한 산업재해 발생 시 발생한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고용노동부 지방고용노동관서(산재예방지도과)에 산업재해 조사표를 작성·제출하여야 합니다. - 근로복지공단에 요양급여신청서를 제출하더라도 산업재해조사표를 별도로 제출하여야 하며, 미제출 시 1,500만원 이하 과태료 부과 - 「산업안전보건법」 제57조제3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73조 ㅇ 또한, 중대재해 발생 사실을 알게 된 경우 재해발생 개요, 피해상황, 조치 및 전망 등을 지체 없이 고용노동부 지방.. 더보기
(고용노동부)’20년 산업재해 사고사망 통계 발표 사고사망자는 882명으로 전년 대비 27명 증가, 사고사망만인율은 0.46?으로 전년과 동일 -규모.재해유형.작업내용.기인물별 등 재해발생 요인별 세부 분석 고용노동부는 ’20년 산업재해 사고사망 통계를 확정 발표했다. [전체 현황] (총괄)‘20년 산재 사고사망자는 882명으로 ‘19년에 비해 27명 증가(3.2%↑)했다. (사고사망자)`19년 역대 최초로 800명대 진입했으나, `20년 이천 화재사고(38명 사망) 등의 영향으로 27명 증가했다. (사고사망만인율)전반적인 감소세로 ‘20년은 `19년과 같은 0.46퍼밀리어드로 나타났다. (업종별) 건설업 사고사망자는 458명(전체의 51.9%)으로 전년대비 30명 증가, 제조업은 201명(전체의 22.8%)으로 전년대비 5명 감소했다. 사고사망만인율은.. 더보기
(고용노동부)사망재해 발생 등 예방조치의무 위반사업장 명단 공표 중대재해 발생, 산재 은폐 등 1,466개소 사업장 - 하청노동자 사고사망 비중이 높은 5개 원청사업장 고용노동부(장관 이재갑)는 산업안전보건법 제9조의2(개정전, 법률14788호) 제 1항에 따라 ’20년 중대재해 발생 사업장 등의 명단을 공표했다. 공표사업장 수는 1,466개소로 ‘19년(1,420개소) 대비 46개소 증가했으며, (중대사고 등) 공표사업장 중 연간 사망자가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제2호에 해당)은 ㈜대우건설 시흥대야동주상복합현장 등 8개소이다. 중대산업사고 발생사업장(제4호에 해당)은 한화토탈(주).코오롱인더스트리(주) 등 10개소로, 이 중 화재 및 폭발사고가 6개로 가장 많았다. (산재사고 은폐 등) 산재 발생을 은폐한 사업장(제2의3호에 해당)은 ㈜중흥토건, ㈜대흥종합건설, .. 더보기
(고용노동부)" '21년 산업안전보건감독 종합계획" 발표 “사망사고 핵심 위험요인에 집중한 밀착 감독으로사망사고를 반드시 줄이겠습니다.” ①(추락.끼임)건설.제조현장 ‘3대 핵심 안전조치’ 확행 ②(위험의 외주화)본사 및 원청의 안전보건 책임관리 강화 ③(화재.폭발)적시·점검을 통한 대형사고 사전예방 정부는 2월 9일(화) "’21년도 산업안전보건감독 종합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문 의: 산재예방정책과 남덕현 (044-202-7685)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1932 내일을 위한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가 밝은 미래를 열어드립니다 본문 뉴스·소식 보도자료 언론보도설명 공지사항 홍보동영상 카드뉴스 월간내일(기관지) 뉴스레터 열기/닫기 본문 보도자료 제목 " '21년 산업안전.. 더보기
(고용노동부)마트노동자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해 민.관이 함께 나섰다 - 중량물 이송 보조를 위한 "플렉스리프트" 공동 개발, 상용화 도입- 고용노동부와 근로복지공단(이사장 강순희) 재활공학연구소(소장 이석민)는 ㈜삼인이엔지(대표 최길웅)와 공동연구를 통해 마트 노동자의 중량물 이송을 보조하기 위한 진공흡착식 전동대차 타입의 “플렉스리프트”를 개발·상용화한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연말 ‘상자 손잡이 가이드’를 마련해 배포하는 등 중량물을 반복적으로 나르는 마트·택배 노동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해 힘써왔다. 이에 따라 주요 대형마트 및 유통업체의 일부 자체 상품에 상자 손잡이가 적용됐으나, 이물질 유입이나 제품 손상 가능성 등의 주장이 제기돼 대안 마련이 시급했다. 이에 고용노동부의 지원과 근로복지공단 재활공학연구소-(주)삼인이엔지의 공동 연구개발을 통한 기술.. 더보기
(안전보건공단)전국 중소사업장 불시에 안전 점검한다 □ 고용노동부(장관 이재갑)와 안전보건공단(이사장 박두용)은 산재 사고사망 예방을 위해 「패트롤(Patrol) 현장점검」을 본격 시행한다. □「패트롤 현장점검」은 추락, 끼임 등 중대재해* 위험요인을 근절하기 위해 공단이 중소사업장을 불시에 방문하여 3대 안전조치(추락위험 방지조치, 끼임위험 방지조치, 필수 안전보호구 착용 등) 준수 여부를 집중 점검하는 사업이다. * 추락?끼임 사고사망 비중: (‘17) 48.5% → (‘18) 50.3% → (‘19) 53% → (’20) 48.3% (잠정) ? 올해는 작년보다 점검(6만 → 7만회) 횟수를 늘리고 패트롤 전용차량 확대* 등 사업을 보다 강화하여 화재·폭발 등 대형사고 예방을 위한 점검도 병행할 방침이다. * 패트롤 전용차량 확대: `20년 108대→.. 더보기